본문 바로가기

Server

rhel OS 설치후 새로운 디스크 마운트

redhat 5.5 버전에서 실행함..


root 계정으로 먼저 접속해서 실행.


$> fdisk -l 


마운트되지 않은 디스크가 있는지 디스크 확인부터 한다. 기존 마운트 된 파티션 밑에 마운트 되지 않은 디스크가 보인다면 마운트가 가능한 상태.


Disk /dev/cciss/c0d0: 220.1 GB, 220122071040 bytes

255 heads, 63 sectors/track, 26761 cylinders

Units = cylinders of 16065 * 512 = 8225280 bytes


           Device Boot      Start         End      Blocks   Id  System

/dev/aaa   *           1          13      104391   83  Linux

/dev/bbb              14        6540    52428127+  83  Linux

/dev/ccc            6541        7845    10482412+  83  Linux

...

...

...


Disk /dev/ddd: 299.9 GB, 299966445568 bytes

255 heads, 32 sectors/track, 71798 cylinders

Units = cylinders of 8160 * 512 = 4177920 bytes


           Device Boot      Start         End      Blocks   Id  System



$> fdisk /dev/ddd


fdisk를 사용해서 마운트를 한다. fdisk 명령어 다음에 디스크 이름을 적는다. 간단하게 fdisk 명령어를 보자면

p 는 파티션 정보 n 은 새로운 파티션 생성, d는 파티션 삭제, w는 저장 이다.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.



Command (m for help): n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> n으로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

Command action

   e   extended

   p   primary partition (1-4)

p

Partition number (1-4): 1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- > 파티션 개수를 선택(1개)

First cylinder (1-71798, default 1): 1          -- > 시작 실린더 위치

Last cylinder or +size or +sizeM or +sizeK (1-71798, default 71798):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->마지막 실린더 위치(엔터)

Using default value 71798


Command (m for help): p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-- >파티션 확인


Disk /dev/ddd: 299.9 GB, 299966445568 bytes

255 heads, 32 sectors/track, 71798 cylinders

Units = cylinders of 8160 * 512 = 4177920 bytes


Device Boot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 Start      End      Blocks   Id  System

/dev/ddd                          1       71798   292935824   83  Linux


Command (m for help): w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--> 저장

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!



$> mkfs.ext[n] /dev//ddd


파일 시스템에 맞게 포맷한다.



$> mount /dev/ddd /backup

마운트 시켜주고.



$> e2label /dev/ddd /backup

e2label 명령어로 라벨명도 만들어주고..(fstab 파일에서 label 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안해주어도 무방함)



fstab 파일을 수정하기전에 혹시 모르니.. 파일 내용을 백업해두던가 메모장에 복사해놓자. 부팅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서!!!!

$> vim /etc/fstab


fstab 파일을 열고,


LABEL=/ 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/                          ext3    defaults        1 1

LABEL=/home             /home                   ext3    defaults        1 2

..

..

LABEL=/backup         /backup               ext3    defaults        1 2                 <--1


/dev/ddd                 /backup               ext3    defaults        1 2                  <--2


새로 마운트한 위치를 한줄 추가한다. 이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재부팅시에 부팅이 되지 않기 때문(부팅시에 fstab에 있는 마운트 정보를 읽음)에 잊지말고 꼭 해준다.

1번은 e2label 명령어로 라벨명을 지정해주었을 경우에 사용하고, 2번은 라벨명이 없을때 사용한다. 둘중 하나만 있으면 됨.

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다음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확인한 후에
$> fdisk -l
$> df -kh


 재부팅도 한번 해준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부팅실패할 경우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혹시나 fstab 파일을 잘못변경하였을 경우에는

복구모드로 들어가서(루트 비밀번호로 접속)

$>mount -o remount,rw 

$> vi /etc/fstab

명령어를 날리고 fstab 파일을 열고 fstabl 파일을 수정한다. 위 명령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fstab 파일이 read olny로 되어있어서 수정이 되지 않는다.